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mputerarchitecture
- 개발
- 컴퓨터공학
- 방학
- 졸업영어
- 백엔드
- 개발자
- 스프링장점
- 파이썬
- codeit
- 책평가
- 코드잇파이썬
- 컴퓨터구조개념
- 컴퓨터구조
- 코멘토취업
- CA
- 코드잇
- 소프트웨어
- 제품증정 #에스트라 #에스트라퓨처랩서포터즈 #리제덤아이세럼 #더마아이세럼 #레티노이드아이세럼
- .env파일
- 코멘토5주인턴
- JS
- 컴퓨터공학과
- 맥북FaceID
- 함꼐자라기
- 스프링부트개발
- Python
- 말하기시험
- MIPS
- 나는주니어개발자다
- Today
- Total
목록자기계발/2025-winter (7)
sollog
JSPHTML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서버 측 기술 JS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om.xml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의존성을 추가해주어야한다. JSTL 의존성 javax.servlet jstl 스프링 부트의 내장 톰캣이 JSP를 지원하도록 해주는 의존성 org.apache.tomcat.embed tomcat-embed-jasper provided

문제 상황Maven 프로젝트의 target 디렉토리가 .gitignore 설정으로 인해 GitHub에 업로드되지 않는 문제코드 변경 후 git add, commit, push를 했음에도 GitHub 저장소에 변경사항이 반영되지 않는 현상 나는 웹서비스개발 캠프를 들으면서, railway를 통해 배포를 하기위해 .war파일이 들어있는 target 파일을 깃헙 Repository에 같이 올려야만 했다. 하지만 내 로컬에 실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어느순간 git 명령어가 먹지 않았다.Maven 프로젝트기에, Lifecycle 부분을 조정했는데도 말이다. 내가 사용한 건 clean, package, install이었다.각각의 설명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오겠다. (이 부분은 바로 임베드할 수 있..
1. mysql 서버 종료시키기$ brew services stop mysql 2. 실행 중인 mysql 프로세스 확인 후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완전히 죽인다.$ ps -ef | grep mysql // 확인 $ sudo kill -9 [pid] // 죽이기 3. mysql 파일 경로로 이동한다.$ cd /opt/homebrew/Cellar/mysql/8.0.32[mysql 버전]/bin 4.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친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시켜 준다.$ ./mysqld_safe --skip -grant-tables& 5. 다시 서버 실행후 mysql에 접속한다.$ brew services start mysql$ mysql -u root 6. 비밀번호를 ..

1) ls LiSt의 약자로 해당 디렉토리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의 목록을 나열하는 명령어ls [옵션] [경로]2) cd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cd [경로]3) . 혹은 .. .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은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함-> 그래서 파일 실행시킬 때 ./파일명 했던 것임./파일명4) pwd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 path를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어5) rm Re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rm [옵션] [파일/디렉토리]6) cpCopy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cp [옵션] [복사할 파일/디렉토리] [대상 위치]7) mvMove o..
.
jquery study https://www.w3schools.com/jquery/default.asp

새 해 다짐했던 것 중 하나가 꾸준히 독서를 하는 것이였다.책을 단순히 읽는 것으로 끝내는 것이 아닌, 책을 읽고나서 그 책에 대한 소감을 따로 웹서비스로 만들어 아카이빙 해둘 수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때마침 이번 2025 동계 방학에서 웹서비스를 구축하는 캠프를 듣는데,그 캠프 안에서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고, 배포까지 해서 수행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우선 내가 생각하고 있는 부분을 gpt 에게 대충 말하고, 기획을 부탁했다. 서비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BookArchive""내 손안의 독서 기록장" 내가 기획한 서비스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인증 및 프로필 관리회원가입/로그인: 이메일/비밀번호 기반 인증 (Spring 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