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개발자
- 스프링장점
- 졸업영어
- 스프링부트개발
- 컴퓨터공학
- .env파일
- 코드잇
- 코멘토5주인턴
- 나는주니어개발자다
- 맥북FaceID
- 소프트웨어
- CA
- MIPS
- JS
- 코멘토취업
- 코드잇파이썬
- computerarchitecture
- codeit
- 방학
- 컴퓨터구조
- 백엔드
- 컴퓨터구조개념
- 책평가
- Python
- 컴퓨터공학과
- 말하기시험
- 제품증정 #에스트라 #에스트라퓨처랩서포터즈 #리제덤아이세럼 #더마아이세럼 #레티노이드아이세럼
- 함꼐자라기
- 개발
- 파이썬
Archives
- Today
- Total
sollog
밀리의 서재 독서 아카이빙 서비스 개발 Day 01 본문
728x90
반응형
새 해 다짐했던 것 중 하나가 꾸준히 독서를 하는 것이였다.
책을 단순히 읽는 것으로 끝내는 것이 아닌, 책을 읽고나서 그 책에 대한 소감을 따로 웹서비스로 만들어 아카이빙 해둘 수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때마침 이번 2025 동계 방학에서 웹서비스를 구축하는 캠프를 듣는데,
그 캠프 안에서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고, 배포까지 해서 수행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우선 내가 생각하고 있는 부분을 gpt 에게 대충 말하고, 기획을 부탁했다.
서비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BookArchive"
"내 손안의 독서 기록장"
내가 기획한 서비스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인증 및 프로필 관리
- 회원가입/로그인: 이메일/비밀번호 기반 인증 (Spring Security 활용).
- 프로필 관리: 사용자 이름, 한 해 목표 독서량 설정, 프로필 사진 업로드.
2. 독서 기록 관리
- 책 등록
- 책 제목, 저자, 출판일, ISBN(선택 사항).
- 독서 시작/완료 날짜 기록.
- 사용자가 책 표지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외부 API (예: Google Books API)로 자동 등록.
- 독서록 작성
- 책별로 간단한 요약, 감상평, 평점(1~5점) 작성.
- 태그 추가 (예: "자기계발", "소설", "철학").
- 독서에서 얻은 교훈/인상 깊은 구절 기록.
- 수정/삭제 기능: 잘못된 정보를 수정하거나 기록 삭제.
3. 독서 기록 아카이브
- 목록 보기:
- 연도별, 월별 독서 목록.
- 책의 태그별 검색 필터.
- 읽은 책과 읽고 싶은 책(To-Read) 구분.
- 시각화:
- 독서 통계: 한 해 동안 읽은 책 수, 평균 평점, 장르 비율 등.
- 캘린더 형태로 독서 진행 상황 시각화.
4. 추천 및 공유 기능 (확장 가능)
- 추천 기능:
- 평점이 높은 책 기반으로 추천.
- 비슷한 태그의 책 추천.
- 공유 기능:
- 독서 목록 및 기록을 PDF로 다운로드.
- 특정 책의 독서록을 URL로 공유.
트러블 슈팅해결하는 방법
728x90
반응형
'자기계발 > 2025-win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ignore 설정 및 변경사항 미반영 문제 해결하기 (0) | 2025.01.17 |
---|---|
[MYSQL] 비밀번호 분실시에 재설정 하는 법 (0) | 2025.01.13 |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0) | 2025.01.13 |
[Linux] 리눅스 환경 설정 (0) | 2025.01.10 |
[SQL] study 2주차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