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DB

[DB] Entity

김솔미 2025. 4. 19. 19:06
728x90
반응형

✅ 엔티티(Entity)란?

엔티티(Entit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객체 또는 개념을 말한다.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과 같이 여러 속성을 지닌 명사 형태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 학생, 도서, 제품(구체적) / 주문, 계약(추상적)

 

 

🔹 특징

  •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객체
    • 학생, 도서 같은 실체가 있는 객체뿐 아니라, 주문, 계약처럼 개념적인 것도 엔티티가 될 수 있다.
  • 속성(Attributes)
    • 엔티티는 여러 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속성은 해당 엔티티의 특성이나 성질을 나타낸다.
  • 식별자(Identifier)
    • 대부분의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고유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기본 키(Primary Key)를 가진다.
    • 단, 모든 엔티티가 고유 식별자를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는 다른 엔티티에 의존해 식별되기도 한다.

🧩 강한 엔티티(Strong Entity)

강한 엔티티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스스로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 특징

  • 기본 키(Primary Key)를 통해 자체적으로 식별 가능
  • 다른 엔티티에 의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존재

 

예: 학생(Student), 도서(Book), 제품(Product)

 


🧩 약한 엔티티(Weak Entity)

약한 엔티티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다른 엔티티에 의존해야만 식별이 가능한 엔티티이다. 
자체적으로 고유 식별자가 없기 때문에 소유 엔티티(Owner Entity)의 기본 키와 결합한 복합 키(Composite Key)를 통해 식별된다.

🔹 특징

  • 식별 의존성
    • 소유 엔티티의 기본 키와 자신의 부분 키(Partial Key)를 조합해 식별
    • 단독으로는 고유 식별 불가
  • 식별 관계(Identifying Relationship)
    • 소유 엔티티와 강한 관계를 형성하며, 주로 외래 키(Foreign Key) 제약조건을 포함한 복합 기본 키로 구현
  • ERD 표현
    • ERD(개체-관계 다이어그램)에서는 굵은 선의 다이아몬드실선 연결로 표현됨

💡 예시로 이해하기

🔸 주문(Strong Entity) - 주문 항목(Weak Entity)

  • 주문(Order)은 고유한 주문 ID를 가지고 있어 독립적으로 존재 가능
  • 주문 항목(OrderItem)은 '어느 주문에 속한 항목'인지를 알아야 식별 가능
    • 주문 ID(OrderID) + 항목 번호(ItemNo)를 조합한 복합 기본 키 (Composite Primary Key) 로 식별됨

🔸 가족 데이터베이스의 부모 - 자녀 관계

  • 부모(Parent) 는 고유 식별자(PK)를 가짐
  • 자녀(Child) 는 ‘어느 부모의 자녀인지’를 통해 식별됨
    • 부모 ID + 자녀 순번 등으로 구성된 복합 키 사용

 

728x90
반응형